▶본문 바로가기 ▶주메뉴 바로가기

스마트그리드 데이터 센터 이용자 만족도 조사

닫기
안녕하십니까
스마트그리드 데이터 센터를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.
더 나은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개편된 스마트그리드 데이터 센터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오니
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.
1. 시행일 : 2019.2.18(월) ~
2. 조사내용

이용자 만족도 조사

목록
소속 성함
연락처 - -
사이트 전체 만족도

제공 정보의 적정성

(국내통계/사업자등록 통계, 정책, 생태계 구조, 국내기업)

제공 정보의 활용성

(국내통계/사업자등록 통계, 정책, 생태계 구조, 국내기업)

사이트 이용 편의성

추가 희망 콘텐츠
개인정보 수집동의

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합니다.

※ 조사 결과는 스마트그리드 데이터 센터의 용이성을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만 활용되며,
소속, 성함, 휴대전화는 만족도 조사 참여자 집계에만 활용됩니다.

홈으로 > 고객센터 > 정보마당

정보마당

스크랩
목록
제목 LG엔솔,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 ESS용으로 전환 착수…美 이어 中·폴란드 공장도 재편
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5-10-16
출처 전자신문 (바로가기)

ㅇ LG에너지솔루션이 배터리 생산 라인 재편에 착수함

 

ㅇ 15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 난징과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 전기차 배터리 생산 라인 일부를 ESS용 리튬인산철(LFP) 배터리로 전환하는 작업을 시작함


ㅇ 구체적으로 난징 공장은 생산능력 기준 7~8기가와트시(GWh)를, 브로츠와프 공장은 3~4GWh 규모를 ESS용으로 개조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파악됨


ㅇ LG에너지솔루션이 생산 체계를 바꾸는 건 인공지능(AI) 데이터센터 전력 사용량 증가와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으로 글로벌 ESS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됨


ㅇ LG에너지솔루션은 충북 오창 공장 ESS용 니켈·코발트·망간(NCM) 배터리 라인을 LFP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


ㅇ 국내 ESS 중장기 수요 대응과 함께 정부 주도 ESS 중앙계약시장 2차 사업을 따내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되며, 사업 규모가 1조원대인 ESS 중앙계약시장 2차 사업자 선정은 연말에 이뤄질 예정

첨부파일
이전글 다음글
이전글 △ 기아, 전기차 생산 대폭 확대…전동화 전환 빨라진다
다음글 ▽ 다음글이 없습니다.